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등차수열

    일반항과 점화식

    일반항과 점화식

    < 등비수열과 등차수열 수열에는 일반항과 점화식이라는 개념이 있다. 이전 글을 보았으면 알겠지만 일반항은 수열의 항의 값을 항의 번호로 구하는 일반적인 식이며, 점화식은 구하고자 하는 항의 이전항들로 항의 값을 구하는 식이다. 그 글에서는 일반항과 점화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점화식 한 줄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a: 일반항, n: 항의 번호, d: 공차, r: 공비) 일반항 점화식 등차수열 Sn=a+(n1)d Sn=Sn1+d 등비수열 Sn=arn1 Sn=rSn1 이미 이전 글에서 유도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번에는 그냥 규칙을 찾는 것이 아니라 수학적으로 접근해보겠다. 점화식은 수열의 정의에서 당연하게 유도되..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일반항과 점화식 > 이번 글에서는 수열 시리즈를 시작하며 가장 기본적인 등차수열, 등비수열에 대해 다룰 것이다 수열의 점화식과 일반항 수열이란 수의 나열이다. 예를 들면 1,2,3,4,5는 자연수의 수열이며 2,3,5,7,11,13,17는 소수의 수열이다. 수열에는 항이라는 것이 있다. 항이란 수열의 몇 번째 수인지를 묻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열 1,2,4,8,16,32의 제1항은 1, 제2항은 2, 제3항은 4이다. 수학적으로 쓰자면 수열 an번째 항은 an으로 쓴다. 첫항의 경우 a로 쓸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수열은 아무 의미없는 수의 나열이 아니라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수를 나열한다. 그렇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