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머지

    RSA 암호화 - RSA의 동작 방식

    RSA 암호화 - RSA의 동작 방식

    RSA 암호화 RSA 암호화 - 개념편 RSA 암호화 - 수학편: RSA와 소수 RSA 암호화 - 수학편: 나머지 계산 RSA 암호화 - RSA의 동작 방식 RSA 암호화 - RSA의 작동 원리 [알림] 이 글은 RSA 암호화 시리즈의 4편입니다. 앞선 편을 모두 읽고 이 편을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RSA의 작동 방식 RSA는 다음 방식으로 작동한다. 키 쌍 생성: 아주 큰 두 소수 p, q를 생성한다. N=pq를 계산한다. (p1)(q1)과 서로소인 정수 e를 하나 정한다. ed(p1)(q1)로 나눈 나머지가 1인 정수 d를 계산한다. pq, p1, q1은 삭제한다. 공개키는 Ne가 되고 비밀키는 d가 된다. 3단계에서 e..

    RSA 암호화 - 수학편: 나머지 계산

    RSA 암호화 - 수학편: 나머지 계산

    RSA 암호화 RSA 암호화 - 개념편 RSA 암호화 - 수학편: RSA와 소수 RSA 암호화 - 수학편: 나머지 계산 RSA 암호화 - RSA의 동작 방식 RSA 암호화 - RSA의 작동 원리 [알림] 이 글은 RSA 암호화 시리즈의 3편입니다. 앞선 편을 모두 읽고 이 편을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특수한 형태의 나머지 연산의 필요성 RSA암호는 나머지 연산을 매우 자주 활용한다. 어떤 정수를 다른 정수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는 것이다. 컴퓨터 입장에서 나머지 연산은 매우 쉬운 일이다. C언어에서 ab로 나눈 나머지를 계산해서 c에 저장하는 코드는 다음 한 줄이면 된다. c=a%b; 이 방법은 매우 효과적이지만 RSA에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RSA에는 $a^b \equiv..

    RSA 암호화 - 수학편: RSA와 소수

    RSA 암호화 - 수학편: RSA와 소수

    RSA 암호화 RSA 암호화 - 개념편 RSA 암호화 - 수학편: RSA와 소수 RSA 암호화 - 수학편: 나머지 계산 RSA 암호화 - RSA의 동작 방식 RSA 암호화 - RSA의 작동 원리 [알림] 이 글은 RSA 암호화 시리즈의 2편입니다. 앞선 편을 모두 읽고 이 편을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비대칭키 암호화의 기본 비대칭키 암호화는 비밀키로 공개키를 알 수는 있지만 공개키로는 비밀키를 알 수 없고, 두 키가 암복호화에 따로따로 사용돼야 하는 한 쌍의 키가 필요하다. 이는 보통 이산대수의 어려움을 통하여 구현된다. 이번 글에서 다룰 RSA는 소인수분해의 난해함을 기초로 보안이 유지된다. 두 소수 pq가 있다. 이 두 수를 곱하여 pq를 계산 하는 일은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으며 컴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