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

동차점화식의 일반항
개요 수열에서 점화식이란 이전항을 이용해 다음 항을 알아내는 식이다. 예를 들어 어떤 수열 에 대해 다음 식은 모두 점화식이다. 이 중 식 1, 2, 3 꼴의 점화식에서 일반항을 유도하는 방법은 이미 이 글에서 다루었다. 이번 글에서는 4번 형식의 점화식에서 일반항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동차점화식과 비동차점화식 점화식은 꼴에 따라 2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1번 식과 같은 꼴의 점화식을 "동차점화식"이라고 하고 2번 식과 같은 꼴의 점화식을 비동차점화식이라고 한다. ..

원주율의 근사방법
원주율이란, 원에서 지름과 반지름의 길이비로 정의된다. 모든 원에서 이 값은 일정하며, 따라서 상수이다. 원주율이 무리수라는 증명은 이미 존재하는데, 이는 곧 원주율은 원을 하나 그리고, 원주와 반지름의 길이를 실측해서 나타낼 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여타 다른 무리수, 이를테면 와 같이 도 근사를 통해 그 값을 구해야 한다.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define BATCH 999999 #define WILL_TRY 1400000 #define SQUARE 14000 #define RND(M) rand()%M #define DOUBLE_SIZE sizeof(double) clock_t start_p, end_p; void approx..

유클리드 호제법과 디오판토스 방정식
일반적으로 두 자연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기 위해 우리는 두 수를 소인수 분해한다. 예를 들어 두 자연수 와 가 있고 이들을 소인수 분해한 것이 이고 인 경우 두 수의 최대공약수 이다. 이때 로 쓸 수 있다. 이 방법은 분명 효과적이지만 두 수가 매우 큰 경우 그리 효과적인 방법은 아니다. 이 글에서는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다른 방법인 유클리드 호제법에 대해 다룬다. 유클리드 호제법 유클리드 호제법은 다음과 같은 정리이다. 두 자연수 와 가 있을 때 ()라면 이다. 이에 대한 증명은 다음과 같다. 라고 하고 , $b=..

일반항과 점화식
< 등비수열과 등차수열 수열에는 일반항과 점화식이라는 개념이 있다. 이전 글을 보았으면 알겠지만 일반항은 수열의 항의 값을 항의 번호로 구하는 일반적인 식이며, 점화식은 구하고자 하는 항의 이전항들로 항의 값을 구하는 식이다. 그 글에서는 일반항과 점화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점화식 한 줄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일반항, : 항의 번호, : 공차, : 공비) 일반항 점화식 등차수열 등비수열 이미 이전 글에서 유도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번에는 그냥 규칙을 찾는 것이 아니라 수학적으로 접근해보겠다. 점화식은 수열의 정의에서 당연하게 유도되..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일반항과 점화식 > 이번 글에서는 수열 시리즈를 시작하며 가장 기본적인 등차수열, 등비수열에 대해 다룰 것이다 수열의 점화식과 일반항 수열이란 수의 나열이다. 예를 들면 는 자연수의 수열이며 는 소수의 수열이다. 수열에는 항이라는 것이 있다. 항이란 수열의 몇 번째 수인지를 묻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열 의 제1항은 1, 제2항은 2, 제3항은 4이다. 수학적으로 쓰자면 수열 의 번째 항은 으로 쓴다. 첫항의 경우 로 쓸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수열은 아무 의미없는 수의 나열이 아니라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수를 나열한다. 그렇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