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과 죽음을 둘러싼 자연에서의 전쟁은 생식할 수 있는 발달된 개체, 즉 고등생물이 탄생하게 하였다. 하나, 혹은 적은 수의 생명이 살아가기 시작하고, 이 행성이 중력에 법칙에 따라 도는 동안 너무나도 간단한 기원은 가장 아름답고 경이로운 형태로 존재해왔고, 존재하고 있으며, 진화해나갔다. 이러한 생명에는 장엄함이 있다.
찰스 다윈. 종의 기원
아주 오래전, 우연한 이유로 지구에는 자신의 정보를 후손에게 전달하는 유기체가 처음 생겼다.
이 유기체의 이름은 LUCA, 최초의 생명이라는 뜻이다.
지구상의 모든 종은 이 LUCA에서 진화했다는 것이 진화론의 설명이다.
진화는 생물이 무언가 더 발전된 형태로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진화의 결과로 생명은 더욱 복잡해지고, 정교해졌다.
처음 다윈이 진화론을 주장했을 때는 엄청난 비난을 들어야 했다.
다윈의 이론대로라면 우리는 원숭이의 후손이냐는 것이냐는 비난이다.
하지만 이는 진화론을 잘 이해하지 못한 말이다. 진화론은 원숭이가 인간으로 진화했다고 하지 않았다.
진화론은 옛날부터 존재하던 생물이 우연한 계기로 발전하고, 그렇게 발전된 생물이 현재 우리 자연에 살아가는 것이라고 한다.
즉, 지금 살아가고 있는 모든 생물은 진화의 최전선에 있는 것이지, 원숭이가 인간보다 진화가 덜 되었다는 뜻이 아니다.
원숭이와 인간은 공통조상을 가지고 있을 것이며, 그곳에서 다른 방향으로 진화되어 왔다.
따라서 원숭이가 인간으로 진화한다는 말은 터무니없다.
한편 진화론은 생물이 진화했다는 것뿐만 아니라 어떻게 진화를 하였는지도 설명한다.
생물은 자연선택에 의해 진화한다.
생물은 부모의 유전자를 따르지만 완전히 따르지는 않는다. 유전자를 전달하고, 해석하는 등의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이는 돌연변이를 만든다.
이렇게 우연히 생긴 돌연변이는 우연히 그 생물이 처한 환경에 잘 맞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린을 생각해보자.
기린은 나뭇잎을 먹으며 살아간다. 그런데 많은 기린들이 있으면 상대적으로 많은 기린들이 접근하는 낮은 위치의 나뭇잎은 금세 사라질 것이다. 그럼 기린들에게 남은 선택지는 2개이다.
얼마 없는 낮은 나뭇잎을 가지고 경쟁하거나 더 높은 나뭇잎을 따먹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연히 탄생한 목이 긴 기린은 목이 짧은 기린보다 유리하게 식량을 확보할 수 있었고, 번식도 더 잘할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목이 짧은 기린은 점점 도태되고, 환경에 더 잘 맞는 목이 긴 기린이 살아남아 오늘날의 목이 긴 기린이 된 것이다.
즉, 돌연변이에 의해 생긴 개체중 일부는 자연환경에 더 잘 맞고, 이들은 돌연변이가 아닌 개체보다 성공적으로 살아남아 번식을 하여 번성한다는 말이다. 물론 원래 개체들은 돌연변이 개체들에게 밀려 자원경쟁에서 패배, 점점 도태된다.
이처럼, 자연에서 살아남을 개체가 자연적으로 번성하게 되는 현상을 자연선택이라고 한다.
여기서 조심할 것이 자연선택이 진화를 직접적으로 유도하지는 않는 것이다.
자연선택은 자연에서 부적합한 개체들을 걸러내어 줄 뿐 자연선택의 원인이 되는 "환경에 잘 적응한 개체"를 만들지는 않는다. 환경에 잘 적응한 개체를 만드는 것은 자연선택이 아니라 돌연변이이다.
또한 돌연변이도 항상 진화를 만드는 것은 아닌데 돌연변이가 되더라도 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하면 역으로 자연선택에 의해 도태된다. 대부분의 유전병은 돌연변이에서 기인하지만 그들이 번성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해가 편할 것이다.
진화는 예전에나 일어나던 것이지 오늘날에는 진화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간혹 있다.
하지만 이는 분명 틀린 생각이며, 최초의 생명이 탄생한 이후로 진화는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고 지금도 진행 중이다.
모든 생식과정에는 필연적으로 돌연변이가 발생하고, 자연선택이 되는 것에는 의도가 없기 때문에 번식하는 생물이 있는 한 진화는 멈추지 않는다.
비교적 최근에 일어난 진화의 예로 오늘날에는 단맛을 싫어하는 바퀴벌레가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원래 대부분의 종들은 에너지와 직결된 단맛을 본능적으로 좋아한다. 하지만 인간들이 단맛을 가진 바퀴벌레약으로 바퀴벌레들을 잡자 단맛을 싫어해서 바퀴벌레약을 먹지 않을 수 있었던 바퀴벌레들이 성공적으로 번식하게 되고 결국 단맛을 좋아하지 않는 바퀴벌레들이 성공적으로 번식한 것이다.
'과학 > 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mRNA는 무엇일까? (0) | 2021.10.22 |
---|---|
인간은 결국 식량부족을 맞이할 수 밖에 없을까? (0) | 2021.10.19 |
인체의 순환계 (0) | 2021.07.20 |
생물의 에너지 획득 (0) | 2021.07.16 |
혈액 - ABO 혈액 (0) | 2021.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