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지73
예지
예지73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80)
    • 수학 (27)
      • 경우의 수 (9)
      • 대수학 (7)
      • 정수 (5)
      • 기하 (4)
    • 과학 (33)
      • 물리 (17)
      • 화학 (3)
      • 생물 (11)
      • 지구과학 (1)
    • 컴퓨터 (5)
    • 이것저것 (15)
      • 3차원을 2차원으로 옮기기 (2)
      • 잡소리 (3)
      • Blender (0)
      • AI (4)
      • 생각 (0)
      • WebGL (3)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수학
  • 물리
  • 화학
  • 생물
  • 지구과학
  • 컴퓨터과학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수열
  • 경우의 수
  • 생물
  • 머신러닝
  • 수학
  • 핵분열
  • 비밀키
  • 물리학
  • 나머지
  • 일반항
  • 카탈란수
  • ML
  • 기하
  • 공개키
  • 전기
  • 원자력
  • 에너지
  • 순열
  • RSA
  • 점화식
  • 암호화
  • 대수
  • 조합
  • 정수
  • 인공지능
  • AI
  • 비대칭키암호화
  • 이산수학
  • 물리
  • 원자력발전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예지73

예지

혈액 - ABO 혈액
과학/생물

혈액 - ABO 혈액

2021. 1. 7. 02:32
반응형

ABO혈액형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A형, B형, AB형, O형이다. 이 글에서는 ABO혈액형과 각 혈액형의 특징과 유전. 마지막으로 돌연변이 혈액형에 대해 알아본다.

이 글에서는 ABO혈액형만 다룹니다. Rh혈액형은 여기를 참조해주세요.


ABO 혈액형의 응집원과 응집소

ABO혈액형에는 응집원 A, 응집원 B, 응집소 α, 응집소 β가있다.

응집원은 항원의 역할을 하며 혈액 속 적혈구 표면에 있으며 응집소는 항체의 역할을 하며 혈액 속 혈장에 있다.

같은 타입의 응집원과 응집소가 만나게되면 항원-항체반응이 일어나서 혈액이 응집된다. 응집원 A는 응집소 α와 응집하고, 응집원 B는 응집소 β와 반응하여 응집한다.

다음은 각 ABO혈액형에 따른 응집원과 응집소의 유무이다.

  A형 B형 AB형 O형
응집원 응집원 A 응집원 B 응집원 A, B 응집원 없음
응집소 응집소 β 응집소 α 응집소 없음 응집소 α, β

또, A형 표준 혈청(항 A 혈청)과 B형 표준 혈청(항 B 혈청)이라는 말이 있다.

A형 표준 혈청은 응집원을 가지지 않고 응집소 β만을 가지는 혈청이며, B형 표준 혈청은 응집원을 가지지 않고 응집소 α만을 가지는 혈청이다.

 

혈액형의 판별

혈액 속 응집원과 응집소의 응집반응을 이용하면 혈액의 혈액형을 판별할 수 있다.

  A형 B형 AB형 O형
A형 표준 혈청 응집 X 응집 O 응집 O 응집 X
B형 표준 혈청 응집 O 응집 X 응집 O 응집 X

이를 통해 피검사자의 혈액 샘플에 표준 혈청을 떨어뜨리고 응집반응을 관찰하여 혈액형을 판정할 수 있다.

 

수혈

출혈로 인해 피가 부족하여 다른 사람의 혈액을 공급받는 것을 수혈이라고 한다. 혈액은 몸속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긴급한 경우 빠르게 수혈을 받아야 하지만, 아무에게나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자칫하면 피수혈자의 혈액과혈액 증여자의 혈액이 응집반응을 일으켜 사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혈액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같은 혈액형끼리는 응집반응이 없기 때문에 얼마든지 혈액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응집반응이 없기 때문이다.

소량수혈은 최대 약 200mL까지 수혈할 수 있다는 뜻이다. 소량을 수혈할때는 증여자의 혈액 속의 응집소가 무시할만큼 적게 들어가기 때문에 안전하게수혈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이상으로 들어가면 증여자의 혈액 속 응집소가 위험한 수준으로 피수혈자의 몸속으로 들어가 응집할 수도 있기 때문에 대량으로 수혈할때는 반드시 같은 혈액형끼리 주고 받아야 한다.

 


ABO 혈액형의 유전

ABO혈액형은 부모로부터 물려받는 유전이다. 기본적으로 멘델의 법칙을 따르지만 cis-AB형등 일부 차이는 있다. 유전인자 A, B, O 세개가 관여하며 A와 B는 우성, O는 열성이다. 이 세개의 유전인자는 일반적으로 6개의 유전형(AA, AO, BB, BO, AB, OO) 4개의 표현형(A, B, AB, O)을 만들어낸다.

표현형 A형 B형 AB형 O형
유전자형 AA 또는 AO BO 또는 BB AB OO

자식 ABO 혈액형의 유전자형은 아버지와 어머니의 생식세포에서 각각 1개씩 가져와 결정된다.

이로써 추론해보면 O형끼리 교배하여 낳은 자식은 반드시 O형이며 AB형과 O형이 교배해 낳은 자식은 AB형이나 O형일 수 없다.

다만 여기에는 예외가 존재하는데 바로 희귀혈액형의 경우이다.

  1. cis-AB
    • cis-AB형의 경우 표현형이 AB형이지만 유전자형이 (AB)(A, B, O)이다. 따라서 원래는 AB형과 O형이 교배하면 AB형이 나올 수 없지만 cis-AB형과 O형이 교배하면 cis-AB형에서 AB유전인자가, O형에서 O유전인자가 유전되어 AB형의 자식이 태어날 수도 있다.
    • cis-AB혈액형은 3개의 유전형을 가질 수 있다(ABO, ABB, AAB).
    • cis-AB형은 AB형의 항원성이 작을 수도 있어서 응집반응으로 혈액형을 검사해보면 꼭 AB형이 나오는게 아니라 A형 또는 B형이 나올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인 검사로 cis-AB를 판별할수는 없다.
    • cis-AB는 cis-AB끼리만 피를 주고 받을 수 있다.
  2. 봄베이형
    • 적혈구 표면에 응집원 A나 응집원 B를 붙이기 위해서는 H항원이 필요하다. 이 H항원은 19번 염색체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만일 이게 hh 열성이 되면 H항원이 만들어지지 않아서 혈액속에는 응집원 A나 B가 있음에도 적혈구 표면에는 붙지 않아 O형으로 검사되는 유형이다.
    • 봄베이형은 AO, BO, OO 세가지 유전자형이 가능하지만 혈액검사시 표현형은 O으로만 나온다
    • 봄베이형은 혈액속에 H 항체가 있으며 이 항체는 다른 모든 혈액형의 적혈구와 응집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봄베이형은 봄베이형끼리만 피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 외 혈액형의 유전에는 희귀혈액형으로 인해 멘델의 법칙을 따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문제가 아닌, 실생활에 멘델의 법칙을 전제하고 혈액형을 판별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새창열림)

'과학 > 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체의 순환계  (0) 2021.07.20
생물의 에너지 획득  (0) 2021.07.16
생식 - 여성의 생식주기  (0) 2020.12.22
혈액 - Rh 혈액형  (0) 2020.12.17
생물 - 인체의 소화과정  (0) 2020.12.13
    '과학/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체의 순환계
    • 생물의 에너지 획득
    • 생식 - 여성의 생식주기
    • 혈액 - Rh 혈액형
    예지73
    예지73
    예리한 지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