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 식 혈액형은 많이 친근할 것이다. A, B, O가 2개씩 쌍을 이루어 만드는 A(AA, AO) 형, B(BB, BO) 형, AB(AB) 형, O(OO) 형이다.
한편 혈액형에는 이 외 Rh 혈액형이 있다. 이 글에서는 이 Rh 혈액형에 대해 알아본다.
이 글에서는 Rh혈액형만을 다룹니다. ABO식 혈액형은 여기를 참조해주세요.
Rh 혈액형을 만드는 요인
Rh 혈액형 자체는 D, C, c, E, e 등 50여 가지의 항원들에 의해 결정된다. 하지만 그중 면역반응을 가장 크게 일으키는 인자는 D이므로 Rh 혈액형은 다른 것보다 D에 집중하고 있다. 그래서 보통 Rh 혈액형이라 함은 RhD+RhD+, RhD−RhD−이다.
Rh+ 혈액형
Rh+Rh+혈액형은 Rh 혈액형을 구성하는 인자 중 D에 대한 항원(응집원)을 가지는 혈액형이다.
전체 인구 중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약 99.9%의 인구가 이 혈액형에 속한다.
이 혈액형을 가진 사람은 Rh+Rh+는 물론 Rh−Rh−에게 수혈을 받아도 문제가 없다.
Rh+Rh+는 Rh−Rh−에 비해 우성이며 D항체에 대한 항원은 적혈구에만 존재한다.
Rh- 혈액형
Rh−Rh−혈액형은 Rh 혈액형을 구성하는 인자 중 D에 대한 항원이 결손 되며 생긴다. 따라서 Rh−Rh−는 D에 대한 항원, 항체를 둘 다 가지지 않는 것이다.
전체 인구 중 소수이며 한국의 경우 약 0.1%의 인구가 이 혈액형이다.
여기서 중요한 게 Rh−Rh−에 Rh+Rh+혈액이 접촉하면 Rh−Rh−에는 D의 항체(응집소)가 생기며 이는 Rh+Rh+의 항원(응집원)과 결합하여 굳게 된다. 따라서 Rh−Rh−는 Rh+Rh+를 수혈받을 수 없다.
Rh null 혈액형
RhnullRhnull혈액형은 Rh−Rh−보다 훨씬 희귀한 혈액형으로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세계에서 43명이 가지고 있다고 확인된 혈액형이다.
RhnullRhnull은 D 항원은 물론 나머지 C, c, E, e 항원 등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Rh+Rh+, Rh−Rh−를 포함, 모든 종류의 Rh 혈액형에 수혈이 가능하다. 이 넓은 범위의 수혈 가능성 때문에 황금의 피라고도한다(단, Rh형에 문제가 없더라도 당연히 ABO 혈액형은 맞아야 한다).
하지만 정작 RhnullRhnull은 RhnullRhnull끼리만 수혈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RhnullRhnull은 수혈받을 일이 없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구분 | Rh+Rh+ | Rh−Rh− |
D 응집원(항원) | O | X |
D 응집소(항체) | X | X (단, Rh+Rh+혈액과 접촉시 생김) |
적아 세포증(신생아 용혈성 질환)
Rh+Rh+인 아버지와 Rh−Rh−인 어머니가 Rh+인 아이를 임신했다고 가정해보자. 어머니와 태아는 혈액을 공유하기 때문에(완전히 공유하는 것은 아니며 한정적으로 공유함) 태아의 Rh+혈액은 모체의 몸속으로 들어와 항체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산모가 2번째 Rh+형의 태아를 임신하면 다시 한번 다량의 RhD 항체가 생성되고 이는 태아에게 들어가 적혈구를 응집시킨다. 결국 태아의 적혈구가 파괴되고 태아는 사망하고 산모는 태아를 사산, 유산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산모는 임신 28주 차와 출신 시에 Anti-RhD를 주사받아 산모의 면역계가 D응집원에 반응하지 못하게 한다. anti-D는 태아에게부터 들어온 RhD항원을 제거하여 산모가 D응집소를 만들지 못하게 한다. 이 약물은 혈액순환계를 돌며 모든 RhD항원을 제거한다.
Anti-RhD다음과 같은 실화로 발견되었다:
Rh−A형을 가진 한 소년이 의사의 실수로 Rh+A를 수혈받게 된다. 원래대로라면 이 소년은 면역반응으로 사망해야 정상이나 이 소년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특이한 항체로 살아남을 수 있게 된다. 이 항체는 Rh+와 RH−가 서로 섞이더라도 응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준다.
자신이 이 항체를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된 소년은 천 번이 넘는 헌혈을 통해 항체를 뽑아 Anti-RhD 약물을 만드는데 쓰이도록 하였다.
'과학 > 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체의 순환계 (0) | 2021.07.20 |
---|---|
생물의 에너지 획득 (0) | 2021.07.16 |
혈액 - ABO 혈액 (0) | 2021.01.07 |
생식 - 여성의 생식주기 (0) | 2020.12.22 |
생물 - 인체의 소화과정 (0) | 2020.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