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 식 혈액형은 많이 친근할 것이다. A, B, O가 2개씩 쌍을 이루어 만드는 A(AA, AO) 형, B(BB, BO) 형, AB(AB) 형, O(OO) 형이다.
한편 혈액형에는 이 외 Rh 혈액형이 있다. 이 글에서는 이 Rh 혈액형에 대해 알아본다.
이 글에서는 Rh혈액형만을 다룹니다. ABO식 혈액형은 여기를 참조해주세요.
Rh 혈액형을 만드는 요인
Rh 혈액형 자체는 D, C, c, E, e 등 50여 가지의 항원들에 의해 결정된다. 하지만 그중 면역반응을 가장 크게 일으키는 인자는 D이므로 Rh 혈액형은 다른 것보다 D에 집중하고 있다. 그래서 보통 Rh 혈액형이라 함은 $\rm{RhD^+}$, $\rm{RhD^-}$이다.
Rh+ 혈액형
$\rm{Rh^+}$혈액형은 Rh 혈액형을 구성하는 인자 중 D에 대한 항원(응집원)을 가지는 혈액형이다.
전체 인구 중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약 99.9%의 인구가 이 혈액형에 속한다.
이 혈액형을 가진 사람은 $\rm{Rh^+}$는 물론 $\rm{Rh^-}$에게 수혈을 받아도 문제가 없다.
$\rm{Rh^+}$는 $\rm{Rh^-}$에 비해 우성이며 D항체에 대한 항원은 적혈구에만 존재한다.
Rh- 혈액형
$\rm{Rh^-}$혈액형은 Rh 혈액형을 구성하는 인자 중 D에 대한 항원이 결손 되며 생긴다. 따라서 $\rm{Rh^-}$는 D에 대한 항원, 항체를 둘 다 가지지 않는 것이다.
전체 인구 중 소수이며 한국의 경우 약 0.1%의 인구가 이 혈액형이다.
여기서 중요한 게 $\rm{Rh^-}$에 $\rm{Rh^+}$혈액이 접촉하면 $\rm{Rh^-}$에는 D의 항체(응집소)가 생기며 이는 $\rm{Rh^+}$의 항원(응집원)과 결합하여 굳게 된다. 따라서 $\rm{Rh^-}$는 $\rm{Rh^+}$를 수혈받을 수 없다.
Rh null 혈액형
$\rm{Rh\; null}$혈액형은 $\rm{Rh^-}$보다 훨씬 희귀한 혈액형으로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세계에서 43명이 가지고 있다고 확인된 혈액형이다.
$\rm{Rh\; null}$은 D 항원은 물론 나머지 C, c, E, e 항원 등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rm{Rh^+}$, $\rm{Rh^-}$를 포함, 모든 종류의 Rh 혈액형에 수혈이 가능하다. 이 넓은 범위의 수혈 가능성 때문에 황금의 피라고도한다(단, Rh형에 문제가 없더라도 당연히 ABO 혈액형은 맞아야 한다).
하지만 정작 $\rm{Rh\; null}$은 $\rm{Rh\;null}$끼리만 수혈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rm{Rh\; null}$은 수혈받을 일이 없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구분 | $\rm{Rh^+}$ | $\rm{Rh^-}$ |
D 응집원(항원) | O | X |
D 응집소(항체) | X | X (단, $\rm{Rh^+}$혈액과 접촉시 생김) |
적아 세포증(신생아 용혈성 질환)
$\rm{Rh^+}$인 아버지와 $\rm{Rh^-}$인 어머니가 $\rm{Rh^+}$인 아이를 임신했다고 가정해보자. 어머니와 태아는 혈액을 공유하기 때문에(완전히 공유하는 것은 아니며 한정적으로 공유함) 태아의 $\rm{Rh^+}$혈액은 모체의 몸속으로 들어와 항체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산모가 2번째 $\rm{Rh^+}$형의 태아를 임신하면 다시 한번 다량의 $\rm{RhD}$ 항체가 생성되고 이는 태아에게 들어가 적혈구를 응집시킨다. 결국 태아의 적혈구가 파괴되고 태아는 사망하고 산모는 태아를 사산, 유산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산모는 임신 28주 차와 출신 시에 Anti-RhD를 주사받아 산모의 면역계가 D응집원에 반응하지 못하게 한다. anti-D는 태아에게부터 들어온 $\rm{RhD}$항원을 제거하여 산모가 D응집소를 만들지 못하게 한다. 이 약물은 혈액순환계를 돌며 모든 $\rm{RhD}$항원을 제거한다.
Anti-RhD다음과 같은 실화로 발견되었다:
$\rm{Rh^-A}$형을 가진 한 소년이 의사의 실수로 $\rm{Rh^+A}$를 수혈받게 된다. 원래대로라면 이 소년은 면역반응으로 사망해야 정상이나 이 소년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특이한 항체로 살아남을 수 있게 된다. 이 항체는 $\rm{Rh^+}$와 $\rm{RH^-}$가 서로 섞이더라도 응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준다.
자신이 이 항체를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된 소년은 천 번이 넘는 헌혈을 통해 항체를 뽑아 Anti-RhD 약물을 만드는데 쓰이도록 하였다.
'과학 > 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체의 순환계 (0) | 2021.07.20 |
---|---|
생물의 에너지 획득 (0) | 2021.07.16 |
혈액 - ABO 혈액 (0) | 2021.01.07 |
생식 - 여성의 생식주기 (0) | 2020.12.22 |
생물 - 인체의 소화과정 (0) | 2020.12.13 |